mobile background

종합 환경 서비스




Hazard & Risk Prevention Plan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유해위험방지계획서는 위험성이 높은 공장 혹은 설비를 사전에 검토하여 사업장 내의 사고위험성 및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해 시행하는 제도입니다.

유해위험방지계획서는 공사시작일 기준 15일전에 제출되여야 합니다.

What is Hazard & Risk Prevention Plan?


산업안전보건법 제48조 제1항~2항에 근거하여 고용노동부령이 정하는 업종 및 규모에 해당하는 사업의 사업주는 당해 사업에 관계있는 건설물.기계.기구 및 설비 등을 설치.이전하거나 그 주요 부분을 변경할 때는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작성하여 고용노동부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제출하여야 합니다. 제출대상은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33조의2의 <대상업종> 및 시행규칙 제120조제3항의 <대상설비>로 설치.이전하거나 주요구조부분을 변경하는 경우 입니다. 

Subject of Hazard & Risk Prevention Plan submission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대상.


* 다음의 업종중 전기 계약용량의 합이 300kw 이상인 사업장을 신설 또는 이전시

* 주요 구조부 변경

* 전기정격용량의 합이 100kw이상 생산과 관련된 설비 또는 기계를 개조,교체,증설

* 단위공장별 설비 또는 기계의 배치를 변경


Who Shall submit Hazard & Risk Prevention Plan?


업종
금속가공제품(기계 및 가구제외)제조업
비금속 광물제품제조업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식료품 제조업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 제조업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기타 제품 제조업
1차 금속 제조업
가구제조업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의약품제외)
반도체 제조업
전자부품 제조업



유해위헙방지계획서 제출 대상설비(5종)


* 모든 업종의 사업장에서 아래의 설비를 설치,이전 또는 변경하는 경우


  • 용해로 

            (금속 또는 비금속 광물) 용량 3톤 이상의 용해로를 신설.이전.변경하는 경우


  •  화학설비

             기준량 이상을 취급하는 특수화학설비를 설치.이전.변경하는 경우 및 기존 특수화학설비를 생산량                증가 등을 위해 대상특수화학설비를 교체 및 변경, 추가하는 겨우

    

                  ㉼ 특수화학설비란?

                           

                   →  발열반응이 일어나는 반응장치

                   →  증류.정류.증발.추출 등 분리를 하는 장치   

                   →  가열시켜주는 물질의 온도가 가열되는 위험물질의 분해온도 또는 발화점보다 

                         높은 상태에서 운전되는 설비     

                   →  반응폭주등 이상화학반응에 의하여 위험물질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설비

                   →  고온(350°C) 또는 고압(980 KPa)에서 운전되는 설비

                   →  가열로 또는 가열기


  • 건조설비

            열원 기준으로 연료의 최대소비량이 시간당 50Kg 이상이거나 최대소비전력이 50KW 이상인 

            다음의 설비를 설치.이전.변경하는 경우

      

                   가. 건조물에 포함된 유기화학물질을 건조하는 겨우

                   나. 도료 피막제의 돞코딩등 표면을 건조하여 인화성 물질의 증기가 발생하는 경우

                   다. 건조를 통한 가연성 분말로 인해 분진이 발생하는 설비


  •  가스집합용접장치

             고정식의 가스집합장치로부터 용접 토치까지의 일관 설비로서 인화성 가스 집합량이 

             1000Kg 이상인 설비를 설치.이전.변경하는 경우


  • 허가.관리대상 유해물질 및 분진작업 관련설비

            안전검사 대상물질 49종으로부터 나오는 가스.증기 또는 분진의 발산원을 밀폐.제거하기 위해 설치             하는 국소배기장치(이동식 제외), 밀폐설비 및 전체 환기장치를 설치.이전.변경하는 경우 

            (국소배기장치 및 전체환기장치는 배풍량이 60㎥/분 이상) 


            안전검사 대상물질 49종 이외 허가대상 또는 관리대상 물질로부터 나오는 가스.증기. 또는 분진의               발산원을 밀폐.제거하기 위해 설치하거나 부진작업을 하는 장소에 설치하는 국소 배기장치

            (이동식 제외), 밀폐설비 및 전체 환기장치를 설치.이전.변경하는 경우

            (국소배기장치 및 전체환기장치는 배풍량이 150㎥/분 


           ㉼ 안전검사대상 국소배기장치 관련 해당물질(49종)

 

                디아니시딘과 그 염/ 디클로로벤지딘과 그 염/ 베릴륨 / 벤조트리클로리드 / 

                비소 및 그 무기화합물 / 석면 / 알파-나프틸아민과 그 염 / 염화비닐 / 오로토-톨리딘과 그 염 /

                크롬광 / 크롬산 아연 / 황화니켈 / 휘발성 콜타르피치 / 2-브로모프로판 / 6가크롬 화합물 /

                납 및 그 무기화합물 / 노말헥산 / 니켈(불용성 무기화합물) / 디메틸포름아미드 / 벤젠 / 

                이황화탄소 / 카드뮴 및 그 화합물 / 루엔-2,4-다이소시아네이트 / 트리클로로 에틸렌 / 

                포름알데히드 / 메틸클로로포름(1,1,1-트리클로로에탄) / 곡물분진 / 망간 /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MDI) / 무수프탈산 / 브롬화메닐 / 수은 . 스티렌 / 

                시클로헥사논 / 아닐린 / 아세토니트릴 / 아연(산화아연) / 아크릴로 니트릴 / 아크릴아미드 / 

                알루미늄 / 디클로로메탄(염화메틸렌) / 용접흄 / 유리규산 / 코발트 / 크롬 / 탈크(활석) /

                톨루엔 / 황산알루미늄 / 황화수소

               

                 

                            

                        


          


              

Hazard & Risk Prevention Plan Process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심사 및 확인 절차.